WEB/HTML&INTERNET (8) 썸네일형 리스트형 8일차 : 웹서버 운영하기 (윈도우) 너무 오랜만의 포스팅이네요..ㅎ 그 사이 생활코딩 웹호스팅과 웹서버 부분도 2022년 수정판이 업로드 되었습니다. (7일차라고 쓰고 7개월 전이라고 읽는다..) 7일차 웹호스팅 부분에서 웹서버를 만드는 것은 어렵다고 했는데, 8일차에 바로 웹서버 운영하는 것을 배우다니..ㅎ 우리가 사용할 소프트웨어는 Web Server for Chrome입니다. . (크롬이 없는 분들은 먼저 크롬을 깔아주세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크롬 확장프로그램이고, 설치 후 실행하면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CHOOSE FOLDER를 누르고 바탕화면에 만들어 두었던 WEB 폴더를 선택합니다. 그 후에 아래에 있는 URL에 접속하면, 폴더 안에 있는 웹페이지에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전에는 파일 이름으로 접속을 했는데, 이제 .. 7일차 : 웹 호스팅 7일차 : 웹 호스팅 지난 시간에 웹서버를 직접 만드는 것은 어려우니, 웹호스팅 업체를 이용하라고 했죠. 웹서버를 운영하려면 우선 컴퓨터가 있어야 하고, 그 컴퓨터가 항상 켜져 있어야 합니다. 웹서버라는 프로그램을 배워서 설치해야 하고,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게 설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초보자가 쉽게 운영할 수 없죠..ㅠ 그래서 오늘은 웹서버를 빌려주는, 웹호스팅 업체를 통해 외부에서도 접속 가능한 웹사이트를 만들어 봅시다! ** 생활코딩에 나와있는 설명/캡쳐는 예전 깃허브를 보여주는 내용이라 생활코딩만 보면 똑같은게 없어서 당황하실 수 있어요. 오래 전에 업로드 된 내용이라서, 깃허브 페이지 생김새가 좀 달라졌거든요. 아래 캡쳐들은 실시간 깃허브의 모습이니 참고하세요 :) *** 생.. 6일차 : 원시웹, 인터넷과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6일차 : 원시웹, 인터넷과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1. 인터넷과 웹? 인터넷 : 웹 = 도시 : 건물 = 도로 : 자동차 = 운영체제 : 앱 웹이 탄생하면서 일반인도 쉽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됨 2. 정보기술 역사상 중요한 사건 2개 - (1960) 인터넷의 탄생 : 핵공격을 당하면 통신이 마비되는 위험을 극복하기 위해 분산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을 구상 - (1990) 웹의 탄생 : 스위스의 유럽입자물리 연구소에 도착한 팀 버너스 리가 조용히 WWW를 만듬 세계 최초의 웹 페이지 : http://info.cern.ch 원시웹 : 지난 시간까지 직접 만들어 본 바로 그 웹사이트! 3. 서버와 클라이언트 인터넷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2대 필요합니다. 한 컴퓨터는 정보를 요청하고 다른 컴퓨터는 .. 5일차 : 웹사이트 완성 5일차 : 웹사이트 완성 오늘은 지난번에 만든 웹페이지를 여러개 엮어서 웹사이트를 만들어 보는 시간입니다. 생활코딩에서 만든 웹페이지 샘플입니다. WEB1 - Welcome HTML CSS JavaScript WEB The World Wide Web (abbreviated WWW or the Web) is an information space where documents and other web resources are identified by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s), interlinked by hypertext links, and can be accessed via the Internet web-n.github.io 이것을 참고해서 저는 저만의 사이트를 만들었는데요... 4일차 : 부모/자식 태그, 문서의 구조, 태그의 제왕 4일차 : 부모/자식 태그, 문서의 구조, 태그의 제왕 오늘은 태그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1. 부모 태그 & 자식 태그 예시로 사용된 parent와 child 태그입니다. (실제로 이런 태그는 없어요ㅎㅎ) 이런식으로 하나의 태그 아래에 다른 태그가 있을 때 두 태그 사이에 부모/자식 관계가 생깁니다. 이렇게 위치에 따라 부모/자식의 관계가 형성되는데요. 필요에 따라서 관계는 달라질 수 있겠죠. 하지만 진짜 부모/자식 관계처럼 고정적으로 함께 쓰이는 태그들이 있습니다. - 목록 태그 와 목록 간의 경계를 나타내주는 태그 , (ul은 unordered list의 약자고, ol은 ordered list의 약자입니다.) ul을 사용하면 앞에 번호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넘버링이 필요하면 직.. 3일차 : 줄바꿈, HTML이 중요한 이유, 속성과 img 3일차 : 줄바꿈, HTML이 중요한 이유, 속성과 img 안녕하세요, 오늘 맨 처음 배울 내용은 줄바꿈입니다. 1. 줄바꿈 과 (가 더 좋은 선택인 이유) 지난번에 제가 엔터가 시급해서.. 검색으로 알아낸 줄바꿈이 바로 3일차에 등장하다니.. 조금만 더 참고 기다려 볼 걸 그랬습니다. 제가 알아낸 줄바꿈 태그는 이었는데요. 은 열고 닫는 부분 없이, 을 입력하자마자 줄을 바꿀 수 있었습니다. 지난 시간에 배운 나 을 쓸 때는 와 을 통해서 강조할 부분을 감싸줬죠. 이것과 마찬가지로 단락과 단락을 감싸주는 태그가 존재합니다. 바로 이죠! 마찬가지로 와 를 통해서 단락의 시작과 끝을 표시해 주어야 합니다. 생활코딩에서는 보다 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선택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해야 웹페이지를 정보로서 보..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