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코딩

(32)
2일차 : 소스코드 수정방법, 배포, 컴포넌트 만들기 2일차 : 소스코드 수정방법, 배포, 컴포넌트 만들기 1일차에 우리는 개발 3대 작업인 설치를 끝냈습니다. (개발의 3대 작업은 설치, 수정 그리고 마지막은 배포입니다.) 수정하는 방법 자체는 5분이면 배운다고 하네요. 물론 수정을 어떻게.. 잘 하느냐가.. 관건이긴 하지만요..ㅎ 소스코드 수정방법 지난번에 create react를 이용해 개발 환경을 세팅했는데요. 지난 시간에는 모르고 지나쳤지만, 우선 이 방법을 사용하면 어떤 디렉토리 구조를 갖게 되는 지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지난번에 만들어 둔 리액트 폴더에 분명 아무 것도 없었는데..! 명령어 하나 넣어줬더니 트리가 아주 풍성한 가지를 갖게 되었네요.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src라는 폴더에 index.js라는 파일을 찾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
1일차 : 수업소개, 실습환경 구축 1일차 : 수업소개, 실습환경 구축 수업소개 이 수업은 리액트 입문자를 위한 수업으로 리액트의 기본 문법과 핵심 개념을 익할 수 있습니다. 리액트는 사용자 정의 태그를 만드는 기술입니다. 복잡하고 긴 코드에 이름을 붙여서, 단순한 태그로 만들면 좋겠죠? 복잡한 코드들은 숨겨버리고 단순한 태그만 보여주는 것이죠. 사용자 정의 태그를 만들면, 이것이 가능해집니다. 리액트를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class 문법을 사용하는 것과 function 문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요새는 대부분 함수 문법을 사용해서 리액트를 만들기 때문에, 이 수업에서는 함수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실습환경 구축 리액트를 이용하기 위해서 다운받아야 하는 것들이 꽤 있습니다. 만약 컴퓨터에 개발환경을 구축하기 어렵고..
12일차 : UI vs API 12일차 : UI vs API 지금까지 자바스크립트의 핵심적인 문법을 살펴봤습니다.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하면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선할 수 있는 것도 배웠습니다. 마지막으로 정말 중요한 개념을 배우고, 자바스크립트 기본 강의는 마친다고 합니다. UI vs API UI와 API 둘다 많이 들어본 것 같은데요. UI는 User Interface의 약자로 평상시에 풀네임인 유저 인터페이스라는 말도 자주 듣게 되는 것 같습니다.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입니다. 일반적인 사용자 입장에서는 UI에 비해 자주 듣지 못한 단어인 것 같습니다. 이 둘은 비슷한듯 다르며, 다른듯 비슷합니다. 우선 사용자가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조작장치를 UI라고 합니다. 우리가..
11일차 : 객체 활용, 정리정돈,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11일차 : 객체 활용, 정리정돈,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객체 활용 nightmode에 사용했던 페이지를 이용해서 객체를 만들고, 그 안에 함수를 넣어봅시다. 객체 안의 함수는 메소드라고 부르던 것 기억하시죠? 일단 Body라는 객체를 만들어서 그 안에 함수를 두개 만들어 보겠습니다. 각각 바디 안의 글씨 색과, 배경색을 설정하는 함수입니다. 이렇게 묶어서 정리하면, 나중에 사용할 때에도 Body.setColor 혹은 Body.setBackgroundColor 을 이용하면 편리하겠죠. 다음으로는 while문을 품고 있던 함수를 Links라는 객체를 만들어서 집어넣어 줄게요. 하이퍼링크의 색상을 모드마다 예쁘게 변경하는 함수였는데 기억나시나요? 이렇게 바꾸면 Links.setColor만 넣어주면 되니까 ..
10일차 : 객체 10일차 : 객체 이번에 배울 내용은 객체(object)입니다. 객체는 엄청 어렵대요 ㅠㅠ 프로그래밍에는 큰 산이 두개가 있는데, 하나는 함수 하나는 객체라고 합니다. 객체는 함수와 전혀 다른 개념이 아니라, 함수라는 기반 위에 존재하는 것입니다. 객체는 정말 다양한 얼굴을 갖고 있는데, 전반적인 것을 한번에 이해하려고 하기 보다는, 우선 하나의 객체의 특성, 존재 이유, 기능을 살펴보면서 객체가 무엇인지 알아가 봅시다. 객체의 존재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정리정돈입니다. 함수의 존재 이유도 바로 정리정돈이었죠. 중복되는 코드가 많아짐에 따라 이를 정리정돈하기 위해 함수를 배웠습니다. 그런데 함수가 많아지면 어떻게 될까요? 함수뿐만 아니라 함수와 연관되어 있는 변수들이 엄청나게 많아지면요? 이런 상황에서 ..
9일차 : 함수, 함수의 활용 9일차 : 함수, 함수의 활용 함수의 기본 반복문으로 해결할 수 없는 반복(?)이 등장한다면 어떻게 해결할까요? 예를 들어, 목차가 1,2,3,4 이렇게 나가는 것이 아니라 1-1, 1-2처럼 소단원이 있다고 생각하고, 이런 소단원을 반복해서 삽입하고 싶다고 가정해 봅시다. 아래처럼 하나씩 입력하게되면 너무 힘들겠죠. 이렇게 일정한 규칙이 없는 상태를 반복하려면, 반복문이 아닌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웹브라우저에게 함수를 사용한다는 신호를 주려면 먼저 function을 사용해야 합니다. function 뒤에는 함수의 이름을 넣어주면 되고, 이름 뒤에 중괄호, 그 뒤에 대괄호를 넣어줍니다. 대괄호 안에는 함수로 만들고자하는, 즉 반복되는, 혹은 재사용되는 코드를 넣어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2-1과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