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JavaScript

12일차 : UI vs API

반응형

12일차 : UI vs API

 

지금까지 자바스크립트의 핵심적인 문법을 살펴봤습니다.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하면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선할 수 있는 것도 배웠습니다.

마지막으로 정말 중요한 개념을 배우고, 자바스크립트 기본 강의는 마친다고 합니다.

 

 

UI vs API

 

UI와 API 둘다 많이 들어본 것 같은데요.

UI는 User Interface의 약자로 평상시에 풀네임인 유저 인터페이스라는 말도 자주 듣게 되는 것 같습니다.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입니다. 일반적인 사용자 입장에서는 UI에 비해 자주 듣지 못한 단어인 것 같습니다.

이 둘은 비슷한듯 다르며, 다른듯 비슷합니다.

 

우선 사용자가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조작장치를 UI라고 합니다.

우리가 컴퓨터를 할 때 눈 앞에 보이는 것들 대부분이 바로 UI입니다.

 

코딩을 배우기 전에는 UI만 눈에 보였고, 이것만 사용했죠.

하지만 이제 코딩을 배우게 되면 그 아래에 숨어있는 API를 활용해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된 겁니다.

 

예를 들어 함수 alert 은 경고창을 실행하는 조작 장치, 즉 API입니다.

그런데 일반인이 alert 을 사용할 일이 없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의 경고창이 뜨는 기능을 이용해서 버튼을 클릭하면 경고창이 뜨게끔 만들어 놓는 것이죠.

 

모든 어플리케이션은 API를 프로그래밍적으로, 즉 순서대로 실행하는 것을 통해 만들어집니다.

API가 없다면 순서가 무슨 소용이고, 순서가 없다면 API는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API와 순서는 단어와 문법처럼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습니다.

 

앞으로 웹 브라우저는 어떤 API를 감추고 있는지 살펴볼게요.

 

 

수업을 마치며

 

어느새 자바스크립트 기본 강의도 끝났네요.

 

이제 공부보다는 실습! 자신의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근)공부에는 때가 없다지만 프로젝트에는 때가 있다고 해요(소근)

바로 지금!

 

아직 웹사이트에 글을 올리지는 않았지만, html과 css 기본 강의를 듣고 나서 홈페이지 만드는 연습을 좀 했습니다.

확실히 배우고 나서 바로 활용을 하니 기억에 오래 남더라구요.

 

하나씩 하나씩 해나가다보니 어느 순간에는 뭔가 더 멋있는 페이지를 만들고 싶어지더라구요.

평소에 보는 웹페이지들은 너무나 잘 만들어진 페이지들이라서.. 눈만 높아졌나봐요.. ㅎㅎ

저는 주로 웹사이트 만드는 유튜브들을 보면서 따라하는데, 보통 자바를 많이 활용하고 있더라구요.

그래서 잠시 중단하고 다시 학습을 이어가야겠다 싶었죠.

 

이 수업을 마치며 선생님이 도움이 될만한 팁을 몇 가지 소개해주는데요.

 

어떤 태그를 삭제하고 싶거나 어떤 태그에 자식 태그를 추가하고 싶을 때

1. document 객체 조사

2. DOM(document object model) 객체 조사

3. window 객체 조사

 

웹페이지를 리로드하지 않고 정보를 변경하고 싶을 때 : ajax - 현대적인 웹앱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테크닉

웹페이지가 리로드되어도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싶을 때 : cookie

인터넷이 끊겨도 동작하는 웹페이지를 만들고 싶다면 : offline web application

화상 통신 웹 앱을 만들고 싶다면 : webRTC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싶다면 : speech

3차원 그래픽으로 게임과 같은걸 만들고 싶다면 : webGL

가상현실에 관심이 많다면 : webVR

 

이제부터는 혼자 가야 한다고 합니다!! 화이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