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JavaScript

7일차 : 배열, 반복문

반응형

7일차 : 배열, 반복문

 

배열이란? (Array)

 

코딩을 하다보면 데이터가 점점 많이 쌓이겠죠. 정리가 되지 않은 데이터들을 집안에 가득 쌓인 물건이라고 가정해봅시다.

생각만 해도 집에 들어가기 싫겠죠?

이렇게 가득 쌓인 물건들을 정리정돈 하려면, 각종 수납 도구들이 필요합니다.

옷들을 넣어둘 옷장, 음식을 넣어둘 냉장고, 물건들을 넣을 서랍장 등등 이런 수납 도구들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오늘 배울 배열입니다.

 

즉, 배열은 데이터가 많아짐에 따라 정리가 되지 않은 다량의 데이터들을 서로 연관된 것끼리 잘 정리정돈해서 담아두는 일종의 수납 상자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배열은 어떻게 만드는지, 문법부터 배워봅시다.

먼저 배열(Array)이라는 사이트를 생성해서 그 안에 배열을 넣어 봅시다.

배열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변수(var) 그룹을 정하고 대괄호 안에 넣고 싶은 아이들을 넣습니다.

위에서는 coworkers라는 수납장에 egoing과 eleezche를 넣어줬네요.

 

이렇게 간단하게 배열을 만들었는데, 만든 이 배열을 꺼내봐야겠죠?

 

document.write로 꺼내봅시다. coworkers 배열안의 첫번째 아이템! 컴퓨터는 숫자를 0부터 세는거 아시나요?

첫번째는 1번이 아니라 0번입니다.

두 코드 사이에 따로 줄바꿈을 넣지 않아서 결과는 egoingleezche 처럼 하나로 연결되어 보입니다.

 

이번에는 하나의 배열 안에 아이템이 몇가지 있는지 세어보겠습니다.

검색을 통해서 배열을 셀 수 있는 명령어를 찾아봅시다.

바로 length를 찾을 수 있는데요. 이렇게 document.write(coworkers.length) 를 이용하면 됩니다.

 

만약 데이터를 추가하고 싶으면 어떻게 할까요?

이것도 검색을 해보면 push 를 찾을 수 있습니다.

push로 두루와 태호를 추가한 후 count를 해보면 총 아이템 수가 4개로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배열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봤습니다.

이것 자체로는 어디에 사용하는지 아직 잘 알 수 없는데요.

 

우선 반복문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본 후, 다음 시간에 배열과 반복문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반복문은? (Loop)

 

지난번에 반복은 쉽게 말하면 노가다를 컴퓨터한테 대신 시키는 것이라고 했었죠.

예를 들어, 1부터 10까지 번호를 매겨야한다고 생각해봅시다.

이런식으로 쭉 10번까지 작성하는 방법도 있겠고, 적어놓은 코드를 복사 붙여넣기 한 후에 숫자만 변경해도 됩니다.

그런데 만약 번호가 백개, 천개를 넘어서 만개 이렇게 있다면.. 과연 어떻게 적으시겠어요?

만약 적다가 숫자를 잘못 적으면요?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반복문입니다.

반복문은 while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while은 if문처럼 while 뒤에 참이 나오게 되면 그 아래 부분을 실행시키는데요, 거짓이 나올때까지 반복합니다.

그럼 while 뒤 조건을 변할 수 있는 것으로 설정해 두어야 겠죠. 변하지 않고 계속 참이 나오면 무한히 반복될테니까요.

이를 위해서 변수를 설정해 줍니다.

변수 i를 0으로 지정한 후, i가 10보다 작으면, i를 적게끔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그 후에 i에 1을 더해줬어요. 언젠간 멈춰야 하니까요.

 

그럼 이렇게 i가 9가 될때까지 반복문을 실행하고, i가 10이 되는 순간, 즉 조건이 거짓이 되는 순간 멈춥니다.

 

오늘은 이렇게 배열과 반복문의 기본에 대해 배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배열과 반복문을 조합해서, 어떤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