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JavaScript

2일차 : 데이터타입 - 문자열과 숫자, 변수와 대입연산자

반응형

2일차 : 데이터타입 - 문자열과 숫자, 변수와 대입연산자

 

 

오늘 배울 내용은 데이터타입과 변수, 대입 연산자입니다.

우선 자바스크립트라는 언어에는 어떤 형태의 데이터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데이터 타입(자료형) - 문자열과 숫자

 

자바스크립트의 데이터 타입이라고 검색을 해봅시다.

 

 

총 여섯가지 타입과 오브젝트(객체)가 나옵니다. 이번 시간에는 넘버와 스트링(문자열)을 배우면 됩니다.

 

지난 시간에 자바는 아무곳에서나 검사(inspection) - 콘솔(console)로 바로 실행시킬 수 있다고 했죠?

 

 

구글 메인 페이지에서 콘솔을 이용해 먼저 1을 띄워봅시다.

alert(1);을 입력하면 알림창으로 1이라는 내용이 나옵니다.

 

 

1+1을 넣으면 이를 계산한 2가 나옵니다.

 

그런데 이렇게 매번 alert를 넣으면 불편하겠죠?

그럼 알림창 없이 넣으면 어떻게 될까요?

 

바로 정답인 2가 나오네요! 사칙연산은 모두 산술연산자로 자바에서 입력하면 바로 실행이 됩니다. (나누기는 /로 표시)

 

콘솔은 간이 계산기로도 사용할 수 있겠네요ㅎㅎ

 

자 숫자 타입은 이렇게 표현해봤는데, 문자 타입은 어떻게 표시할까요?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를 이용하면 되고, 결과는 작은따옴표 안에 표시됩니다.

 

숫자의 경우 사칙연산처럼 산술연산자를 이용하여 활용하면 되는데, 문자는 어떻게 활용할까요?

 

 

위 사이트에서 보면, 문자열 뒤에 .을 찍고 명령어를 입력하면, 실행시킬 수 있네요.

 

 

간단하게 문자열을 세는 length를 이용해봅시다. '세고싶은문자'.length 를 입력하면 문자열이 몇개인지 세주네요!

 

 그 외에도 이렇게 다양한 명령어들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몇가지를 사용해 봤는데요..

코딩은 오타와의 싸움이라고 합니다 하핳

 

명령어에서 대소문자 구분 안하면 안되구요. 마지막에 괄호 넣어줘야 하구요. 문자 넣으실때는 꼭 ''나 "" 사용하셔야 해요!!

 

 

마찬가지로 문자와 숫자 꼭 구분하셔야 합니다. 1+1은 2로 나오지만 "1"+"1"은 두개를 붙여 쓴 11로 나온다는 점!

따옴표가 없는 문자는 합쳐지지가 않습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문자열과 숫자열을 살펴보았습니다.

 

 

2. 변수와 대입 연산자

 

변수는 수학시간에 배운 적이 있죠. 변할 수 있는 값! 보통 x나 y로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x=1, y=1일때 x+y=2가 되겠죠.

 

변수와 반대로 변하지 않는 값을 상수라고 부릅니다. 문자가 아닌 숫자들을 상수라고 부르죠.

x=1 과 같이 변수를 1로 설정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만, 1=2 처럼 상수들이 서로 같다고 하면 에러가 납니다.

 

그럼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잠깐 생각해보아도 정말 많은 이유가 있을텐데요.

기본적으로 수학에서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와 마찬가지로, 변수를 사용하면 공식을 나타낼 수 있게 됩니다.

공식을 사용하면 다양한 상황에서도 같은 내용을 적용시킬 수 있겠죠!

 

팁 : 변수를 사용할 때는 알아보기 쉽게 var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var=variable)

 

변수와 관련된 내용은 너무 많지만, 실질적인 활용을 통해서 학습하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고 하네요.

오늘은 여기까지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